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라의 지진사례

개요

어떤 지역에서 지진활동의 특성을 규명하고 확률론적으로 지진발생 가능성 등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지진기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역사지진과 계기지진자료가 사용되고 있다. 역사지진자료는 역사문헌에 기록된 지진관련 현상을 분석하여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1880년대에 지진계가 최초로 개발되어 실제적으로 계기 지진계에 의한 지진자료는 100년 미만의 제한된 기간의 자료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반도의 경우 지진자료는 약 2,000년에 걸친 역사지진 자료와 1905년 이후의 계기지진자료로 나눌 수 있다.

역사지진

우리나라 최초의 역사지진과 관련된 연구는 1912년 와다(和田雄治)가 삼국사기, 고려사,조선왕조 실록 등 7188권의 역사자료로부터 서기 2년부터 1855년까지의 역사지진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그 후 여러 국내외 학자들에 의해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져 왔지만, 평가자에 따라 지진발생 위치와 진도 등을 다르게 해석하여 차이를 보이고 있다(김건득외(1977), 김소구외(1979), 정봉일외(1980), 엄상호외(1983), 이기화외(1990)). 약 2000년 동안 기록된 문헌의 양이 방대하여 완벽한 자료 수집 및 체계적인 자료정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역사지진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지진학자 뿐만 아니라 역사학자, 토목 및 건축학자 등관련분야의 많은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여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다. 현재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 많은 역사문헌들이 번역 및 D/B화 되고 있어 역사지진의 재평가 작업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림은 조선지진연구소 조선지진목록(1984)에서 서기 2년부터 1898년까지 총 1843개 지진에 대한 진앙분포도이다.

계기지진

계기지진은 지진계에 의해 기록된 자료로부터 분석된 지진자료로 20세기 전반부의 초기계기지진 자료와 1950년대 이후의 계기지진자료로 구분된다. 초기계기지진의 경우 최근의 자료와는 그 정확 도와 신빙도의 차이가 매우 크다. 20세기 전반의 초기계기지진자료는 기술 방식이 역사지진과 유 사하여 진앙의 위치 및 규모의 정확도가 비교적 낮다. 우리나라의 경우 본격적인 지진관측은 1978년 이후 기상청에서 시작되었으며, 1980년대 중반부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도 지진발생 원인 등 연구목적의 지진관측을 시작하였다.

1. 초기계기지진

우리나라에서 지진계에 의해 지진기록이 시작된 것은 1905년 3월 24일 인천의 조선총독부 관측소에서 기계식 지진계 1대로 관측을 시작한 것이 최초의 계기지진 관측으로 알려져 있으며, 1933년에는 서울, 인천, 대구, 부산, 평양의 5개 관측소에서 27종류의 지진관측을 수행, 1942년까지의 지진기록이 확인되었다. 1905년부터 1942년까지 38년간 총 533개의 지진이 보고되었으며 이는 년 평균 14회에 달한다. 이 중 전명순외(1998)는 533개 지진기록 중 110개 지진에 대해 진앙위치와 규모를 결정하였으며, 이들의 진앙 분포는 그림과 같다

2. 1978년 이후 계기지진

그림은 기상청에서 발표한 1978년부터 최근까지의 지진발생 위치 및 규모를 나타낸 것으로 자세한 내용은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kmaneis.go.kr